독서후기

말하기 독서법-김소영지음

제로미다운 2020. 12. 29. 00:58
728x90

마음과 생각을 함께 키우는 독서교육-말하기 독서법

 

달님이는 만1세부터 책과 함께 잠들었고, 일하느라 힘들어도 매일 밤 책을 읽어주었다.

덕분에 책을 좋아하고 반복해서 읽어주다보니 통째로 외우기도 하고, 이후 한글을 자연스레

떼어 독서자립을 5살부터 했다. 책을 스스로 읽는 것이 자연스러운 아이라니! 

하지만 그림책에서 동화책(글밥이 많은 책)으로 넘어가는 수순에서 

너무 빨리 읽는 것 같아 이해를 안하고 넘어가는 것은 아닌가 의구심이 들게 되었다. 

 

처음에는 삽화가 끼어있는 부분을 위주로 보아 줄거리 연결이 안되는 듯 싶었으나

부모와 함께 읽어가며 전체 이해를 도와주었더니 이 후 스스로 반복하며 읽어

더 깊게 재미를 느끼는 듯 하다. 자연스럽게 글밥 많은 책으로 넘어가게 된 것 같기는

한데, 올바른 독서법 지도에 대한 부족함이 많아 관련 지식들을 모을 필요성이

있었다.

 

잘 읽었는지 테스트를 하겠다고 단편적이고 지협적인 질문을 하거나, 감상을 강요해서

아이가 독서를 스트레스로 받아들일까봐 걱정이 되었는데, 이 책을 읽으면서

질문의 기술과 방향성에 대해 많이 배웠다. (솔직히 엄마가 일일히 다 해주기는 어렵고

김소영선생님의 독서교실에 보내고 싶어졌다. 도대체 어디냐.....ㅋㅋㅋㅋ)

 

 

독서를 하고 기록하는 것에 연연하지 말고 그림책, 동시. 동화책. 지식책 등 책의 유형에 따라

어떤 말하기를 하면 좋을지 자세히 소개되어 따라하기 좋고, 

출판사 편집자의 안목으로 선정한 책목록도 있어 아이 수준에 맞추어 골라보고 싶어졌다.

 



*아이에게 말할 때 문장형식으로 말하도록 노력하고, 문장이 너무 길어지지 않게 신경쓰기.

애매한 표현대신 명료한 표현.

아이가 하는 말이 잘 이해되지 않아도 "그게 무슨 말이야?"하기보다 "어려운 말이네. 차근차근 

다시 말해보자"하고 다독여줘라.

아이가 뜻을 몰라 물어본다면 곧장 가르쳐주고나 함께 국어사전을 찾아볼 것. - 학습 시키는 것은 노노

그림책 읽고 무엇을 말할까? -느낌, 인상적인 장면, 표현/크기,표지,창작

동화책 읽고 무엇을 말할까? -줄거리 (단어찾기) 인물(표현하는 말..)배경(시대분위기..)비판(현재의 눈)

아는것과 아는것 같은 것 구분하기

교과연계보다 관심연계 지식책...

글쓰기 공책 맨앞에 글쓰기 좋아하는 이유 쓰기.